정보글/전기기사
-
단상, 3상 전동기 기동법 및 3상 전동기 속도 제어법정보글/전기기사 2023. 4. 7. 11:25
단상 유도전동기 단상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계가 없고 교번자계이기 때문에 기동기가 필요로 한다. 반발기동형 : 브러쉬 위치를 이동시켜 역회전 시킨다 반발유도자형 : 분상기동형 : 기동권선 접속을 반대로 하여 역회전 시킨다. 콘덴서형 : 기동권선 접속을 반대로 하여 역회전 시킨다. 셰이딩코일형 : 역회전 불가능 직류 직권 전동기 : 전기자권선 또는 주권선의 접속을 바꾼다.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역상제동 : 전동기의 3선 중 2선의 접속을 바꾸어 역방향 토크를 발생하여 제동 급정지에 사용하며, 플러깅이라고 한다. 3상 유도전동기 기동법 (농형, 권선형) 농형 1. 전전압 기동(직입 기동) : 전동기를 직접 전원에 접속하여 기동하는 방식이다. 5kw 이하에 사용한다. 2. 와이-델타 기동 : 기동시 와이 접속으로..
-
전기기사 실기 이론 - 조건 정리 (병렬운전 조건, 구비조건, 위치 설정, 피뢰기 조건)정보글/전기기사 2023. 4. 7. 11:05
변압기 절연유 구비조건 1. 2. 3. 4. 5. 정답 : 1. 인화점이 높을 것. 2. 응고점이 낮을 것. 3. 점도가 낮을 것. 4. 절연내력이 클 것. 5. 화학적 작용이 생기지 않을 것.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조건이 맞지 않았을 때 생기는 일) 1. 2. 3. 4. 5. 정답 : 1. 극성이 같을 것. (단상 단락사고) 2.권수비가 같을 것. (순환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한다.) 3.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부하분담이 달라진다.) 4. 저항비와 리액턴스비가 같을 것. (부하분담이 달라진다.) 5. 상회전 방향과 각 변위가 같아야 한다. (3상 단락사고) 직류 발전기 병렬 운전 조건 1. 2. 3. 4. 5. 정답 : 1. 극성이 같을 것. 2. 수하특성일 것. 3. 외부특성곡선이 같을 것.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