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유가 폭락, 유가 전쟁 어떻게 될 것인가. 선물은 떡상!시사*이슈 2020. 3. 9. 16:33반응형
국제유가가 폭락한 여파로 9일 장 초반 원유 관련 상장지수증권(ETN)과 정유주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11분 현재 신한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H)은 전 거래일보다 39.96% 내린 4천410원에 거래 중이다.
삼성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38.91%), QV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H)(-36.12%), 미래에셋 레버리지 원유선물혼합 ETN(H)(-30.69%), 신한 브렌트원유 선물 ETN(H)(-29.94%), 신한 WTI원유 선물 ETN(H)(-28.08%) 등도 급락세다.
S-Oil[010950](-8.71%), 흥구석유[024060](-7.39%), SK이노베이션[096770](-6.94%) 등 정유주도 줄줄이 하락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주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합의까지 불발됐다.
지난 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10.1%(4.62달러) 떨어진 41.2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2016년 8월 이후 최저치이며 2014년 11월 28일 이후 최대 하루 낙폭이다.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00309036800008?input=1195m
[특징주] 국제유가 폭락에 원유ETN·정유주 급락 | 연합뉴스
[특징주] 국제유가 폭락에 원유ETN·정유주 급락, 김아람기자, 금융.증권뉴스 (송고시간 2020-03-09 09:23)
www.yna.co.kr
요즘 주가가 오르락내리락 한다. 성장세는 더디다. 그렇기 때문에 인버스가 주목 받고 있다. 코스피가 2000을 회복한다 싶으면 하락한다.
심지어 감산합의 실패에 가격 덤핑으로 유가 전쟁이 걱정된다.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가 감산에 반대한 러시아에 보복하기 시작했다. 산유량을 최대 하루 200만배럴 가까이 증산하고, 러시아의 주력 시장인 북서유럽에도 진출하며 북유럽을 포함해 미국과 아시아에서 할인을 병행할 계획이다.
사우디는 러시아를 겨냥하고 있지만 가격전쟁은 재무구조가 취약한 미 셰일석유업체들에 줄도산 공포를 불러 일으킬 전망이다. 또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나이지리아와 앙골라는 사우디의 보복 유탄을 맞아 가장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사우디는 다음달부터 산유량을 하루 1000만배럴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핵시 시장에서는 러시아의 석유를 견제하기 위해 20% 가까운 대대적인 할인에 나설 전망이다.
한 소식통은 사우디 산유량이 최종적으로는 하루 1100만배럴을 넘길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2월 사우디가 약속한 하루 97만배럴 수준의 산유량에 비해 최대 하루 200만 배럴 가까이 증산하게 되는 것이다.
사우디 석유정책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다른 나라들이 산유량을 늘린다면 사우디라고 그러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없다"면서 "이제 사우디는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을 메울 매출 확대 권리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사우디는 조만간 주로 러시아를 겨냥한 석유정책들을 발표할 전망이다.출처 : https://www.fnnews.com/news/202003090628466528
코로나19 여파, 감산합의 실패에 가격 덤핑...유가 전쟁 본격화
/사진=뉴스1 외신화상 [파이낸셜뉴스]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가 감산에 반대한 러시아에 보복하기 시작했다. 산유량을 최대 하루 200만배럴 가까이 증산하고, 러시아의 주력 시장인 북서유럽에도 진출하..
www.fnnews.com
사우디는 미국과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았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시절에는 셰일석유를 공격대상으로 삼기도 했지만 사우디와 밀월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들어서고 나서는 미 셰일석유에 대한 언급 자체를 피해왔다.
앙골라와 나이지리아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게 됐다. 증산 여력도, 가격 할인 여력도 없는데다 사우디나 다른 주요 산유국들과 달리 국제 자금 시장에서 세수 부족분을 메울 정도의 돈을 빌릴 능력 역시 안 돼 이들 산유국은 심각한 경제위기에 맞닥뜨릴 가능성이 높아졌다.반응형'시사*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기 일본 총리 후보, 고이즈미 신지로 "펀, 쿨, 섹" (0) 2020.03.10 세계적으로 알아준 한국 방역 시스템, 한국 코로나19 외신 브리핑 (0) 2020.03.10 혼돈의 국가 이탈리아, 이탈리아 폭동 (0) 2020.03.09 코로나 학원 휴원 오히려 줄어들었다. (0) 2020.03.09 승리 입대, 군대로 도망쳐버렸다. (0) 2020.03.09 댓글